0. Intro : Git의 탄생배경 파일을 편집 전 상태로 되돌리고 싶을 때 어떻게 하고 있는가? 가장 간단한 방법은 편집하기 전에 파일을 미리 복사해두는 것이다. 즉, 파일과 폴더명 뒤에 편집한 날짜를 붙여주는 방식. 하지만, 파일을 편집할 때마다 매번 복사하는 일은 번거롭기도 하고 실수할 가능성도 많다. 또는 여러 사람들과 함께 협업할 때 파일 관리를 어떻게 하는가? 보통은 클라우드를 사용할 것이다. 하지만 만약 두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파일을 수정하고 동시에 업로드 한다면? 잘못해서 내가 한 부분이 날라간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위의 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Git과 같은 버전관리 시스템이다. 버전관리 시스템(Version Control System-VCS) 한 유튜버의 말을 ..
2020/06/06 - [🌎Web Application/Spring] - [Spring] Filter + AOP + Interceptor : Filter 2020/06/06 - [🌎Web Application/Spring] - [Spring] Filter + AOP + Interceptor : AOP 2020/06/08 - [🌎Web Application/Spring] - [Spring] Login 기능 및 기타 어노테이션 5. Interceptor 5-1. 개념 인터셉터를 사용하면 브라우저 요청이 있을 때 요청 메서드 호출 전 후에 개발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브라우저의 요청을 해당 컨트롤러의 메서드가 처리하기 전 후에 인터셉터를 두어 특정작업을 수행한다. 인터셉터는 필터와 비슷한 기능을 ..
Interceptor를 설명하기전에, Login을 구현해보도록 하겠다. 그 전에, 자주 사용되는 어노테이션들을 살펴보자. 1. @RequestMapping 쉽게말하자면 URL을 컨트롤러에 매핑해준다. 1-1. 일반 매핑 @ReuqestMapping("/main.do") : http://localhost:8787/MVC/main.do 일 때 1-2. 병렬 매핑 @ReuqestMapping(value={"/main.do ","/main2.do"}) @ReuqestMapping({"/main.do","/main.do"}) : http://localhost:8787/MVC/main.do 혹은 http://localhost:8787/MVC/main2.do => 한 메서드에 여러 개의 요청 URL을 설정 1-3. ..
2020/06/06 - [🌎Web Application/Spring] - [Spring] Filter + AOP + Interceptor : Filter 지난 글과 이어진다. 4. AOP 4-1. AOP 의미 다시 정리 AOP는 스프링의 3대 기반 기술중에 하나이다. AOP는 스프링의 기술 중에서 가장 이해하기 힘든 난해한 용어와 개념을 가진 기술로 악명이 높다.(왠지...) AOP를 바르게 이용하려면 OOP를 대체하려고 하는 것 처럼 보이는 AOP라는 이름 뒤에 감춰진, 그 필연적인 등장 배경과 스프링이 도입한 이유, 그 적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이 무엇인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AOP는 OOP(Object Oriented Programming)을 보완하는 확정적인 개념이다. 즉, AO..